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수요예측 대박 터진 뉴로핏, 공모주 청약 전에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by ChansPickMoney 2025. 7. 15.
반응형

.


공모가 14,000원 확정…예상 시총 1,607억 원

뉴로핏의 희망 공모가 밴드는 11,400원부터 14,000원까지였습니다.
기관 수요예측 결과 대부분의 신청이 상단에 몰리며
결국 최상단인 14,000원으로 공모가가 확정되었고,
이는 기업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607억 원으로 예상되며,
7월 25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입니다.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1087.6대 1 기록

이번 뉴로핏 공모의 가장 큰 주목 포인트는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경쟁률입니다.
무려 2,444건의 참여 건수와 함께 1087.6대 1이라는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공모가 산정 배경: 상단 초과 신청도 7.7%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중 90.9%가 공모가 상단인
14,000원에 신청했고, 7.7%는 그보다 높은 금액을 써냈습니다.
반대로 희망가 하단 미만으로 신청한 기관은 전무했습니다.

다음 표는 수요예측 분포 현황을 보여줍니다.

신청 가격                                                                                                                               구간비율

 

공모가 상단 (14,000원) 90.9%
상단 초과 7.7%
하단~상단 미만 0%
 

이러한 분포는 뉴로핏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기관투자자들 사이에서 매우 높게 평가됐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다소 아쉬운 수준

공모주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인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다소 낮게 나타났습니다.
총 건수 기준으로는 9.33%, 수량 기준으로는 12.08%였습니다.

이는 평균보다는 낮은 수치이며,
상장 직후 물량 출회 가능성이 다소 존재함을 시사합니다.

항목                                                                                                                비율

 

확약 건수 비율 9.33%
확약 수량 비율 12.08%
 

하지만 높은 경쟁률과 공모가 수요 집중을 고려하면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다소 낮더라도 전반적 수요예측은 양호하다는 평가입니다.


일반 청약은 7월 15일부터 시작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은 7월 15일 화요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진행되며, 미래에셋증권이 단독 주관을 맡았습니다.
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한 고객도 청약이 가능하다는 점은 장점입니다.

총 청약 규모는 200만 주, 일반 청약은 50만 주이며
최소 청약 단위는 20주(청약금액 14만 원 수준)입니다.

최대 청약 가능 수량은 5만 주로,
약 3억 5천만 원의 자금이 필요합니다.


청약 규모 및 일정 요약 정리

공모주 청약의 핵심 정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내용

 

공모가 14,000원
총 공모 주식 수 200만 주
일반 청약 주식 수 50만 주
청약 일정 7월 15일~16일
상장 예정일 7월 25일 (금요일)
주관사 미래에셋증권
 

공모가 확정과 수요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투자자들도 참여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뉴로핏 공모주의 투자 관점 요약

뉴로핏은 인공지능 기반 뇌 영상 분석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시장에서는 기술 경쟁력과 향후 실적 개선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높은 기관 경쟁률, 수요 분포 집중도,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여준 신청가 초과 비율 등을 고려할 때
이번 공모는 비교적 성공적인 흥행으로 평가됩니다.

물론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낮다는 점과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았다는 점은 리스크로 남습니다.

하지만 청약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본 정보는 충분히 확보된 셈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