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K방산 강자 삼양컴텍, 공모청약 투자자 몰리는 이유

by ChansPickMoney 2025. 8. 2.
반응형

기관 경쟁률 565.55대 1, 의무보유확약 55%…흥행 청약 신호탄 될까?

삼양컴텍이 2025년 8월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진행한 공모주 수요예측에서 매우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확정 공모가는 밴드 상단인 7,700원으로 결정되었으며, 기관투자자 경쟁률은 565.55대 1에 달했습니다. 의무보유확약 비율도 55.39%를 기록해 높은 신뢰를 입증했으며, 투자자들에게 청약 참여에 대한 강력한 신호를 던졌습니다.


공모가 7,700원 확정…예상 시총 3,173억 원

삼양컴텍의 공모가는 희망밴드 최상단인 7,70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번 공모를 통해 약 1,116억 원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전체 공모
주식 수는 1,450만 주로, 이 중 일반 청약자에게는 362.5만 주가
배정됩니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약 3,173억 원 수준입니다.

구분                                                                                    수치

 

공모가 7,700원
총 공모금액 약 1,116.5억 원
일반청약 규모 약 279억 원
상장 후 시총 약 3,173억 원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압도적 경쟁률 '565.55대 1'

삼양컴텍 수요예측에는 총 2,486건의 기관 참여가 있었습니다.
경쟁률은 무려 565.55대 1로, 최근 공모주 시장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해당합니다. 특히 희망 공모가 밴드의 상단인
7,700원에 90.3%가 몰렸고, 초과 신청(9,000원 이상)도
4.8%에 달했습니다.

이 수치는 삼양컴텍이 가진 기술력과 방산 산업 내
포지션을 투자자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의무보유확약 비율, 신뢰도 높인 핵심 요소

기관투자자 중 상당수가 의무보유확약에 참여했습니다.
건수 기준 55.39%, 수량 기준 48.37%로, 이는
"상장 직후 주식을 매도하지 않겠다"는 약속이자
회사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항목                                                                                                                              수치

 

의무보유확약(건수) 55.39%
의무보유확약(수량) 48.37%
수요예측 참가 기관수 2,486건
 

청약은 8월 5일부터…신한·NH투자증권 통해 가능

청약은 8월 5일(화)부터 신한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을 통해
진행됩니다. 두 증권사 모두 비대면 계좌로 청약이 가능하며,
신한투자증권 기준 최대 12만 주(약 4억 6,200만 원),
NH투자증권은 최대 6만 주(약 2억 3,100만 원)까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청약 최소 단위는 50주, 약 19만 2,500원으로 소액 참여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K방산 대표 기업…해외수출 호재도 겹쳐

삼양컴텍은 K2전차, 소형무장헬기 등에 장갑재를 공급하고 있는
전문 방산기업입니다. 방탄복, 방탄헬멧 등 개인 방호 장비뿐 아니라
항공기용 복합재 부품도 제작하며 기술력을 축적해 왔습니다.
폴란드·튀르키예·필리핀 등 해외 수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추가 성장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처럼 국방 수요와 글로벌 확장성이 맞물린 사업 모델은
기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이끄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청약 시장 내 경쟁 일정 고려는 필수

같은 시기 청약이 진행되는 교보18호스팩, 지투지바이오 등
다른 공모주들과 일정이 겹치는 점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양컴텍은 수요예측 단계에서 우수한 수치를 기록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자자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포트폴리오 안배와 청약증거금 활용을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기관-청약-수출' 3박자 갖춘 흥행 기대주

삼양컴텍의 공모는 기술력, 기관 신뢰, 청약 안정성을 모두
갖춘 이례적인 케이스입니다. 높은 기관 경쟁률,
의무보유확약, 밴드 상단 공모가 확정은 시장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8월 18일 상장 이후 주가 흐름에서도
상당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 만큼, 공모주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청약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